- Home
- /
- 오디세이아 항해일지
- /
- 선원들의 사유공간
- /
- 2.히피문화 쇠퇴의 결정적 사건...






히피문화 쇠퇴의 결정적 사건 – 찰스 맨슨(Charles_Milles_Manson) 살인사건
- 히피문화의 반항적인 특성은 종종 엽기적 사건들과 결합되어 사회적 충격을 일으켰다. 그 중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찰스 맨슨 사건으로, 이는 히피문화가 주장한 성적 자유와 해방이 어떻게 극단적인 폭력과 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찰스 맨슨은 LSD와 정신적 세뇌를 통해 자신의 추종자들을 이끌었으며, 이들은 맨슨의 명령에 따라 1969년 8월, 샤론 테이트를 포함한 7명을 잔인하게 살해했다.
전체 리뷰 펼치기 / 접기 <히피문화 쇠퇴의 결정적 사건 – 찰스 맨슨 살인사>
<동영상은 실제 찰리 맨슨 사건의 사진들이다>
::: 히피문화 쇠퇴의 결정적 사건 – 찰스 맨슨 살인사건
히피문화의 반항적인 특성은 종종 엽기적 사건들과 결합되어 사회적 충격을 일으켰다.
그 중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찰스 맨슨 사건으로, 이는 히피문화가 주장한 성적 자유와 해방이
어떻게 극단적인 폭력과 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찰스 맨슨은 LSD와
정신적 세뇌를 통해 자신의 추종자들을 이끌었으며, 이들은 맨슨의 명령에 따라 1969년 8월,
샤론 테이트를 포함한 7명을 잔인하게 살해했다.
맨슨과 그의 추종자들은 ‘헬터 스켈터’라는 종말론적인 개념을 믿으며, 폭력적인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히피들의 평화와 사랑을 외친 이미지와 상반되었으며, 당시 미국 언론은 이를 히피문화의
어두운 면으로 묘사했다. 맨슨의 사건은 히피사회의 모순과 그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더욱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히피문화가 성적 자유와 개인의 자유를 주장하면서도, 그 이면에는 폭력적이고 극단적
인 경향을 내포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 사건은 또한 히피문화의 이상이 실제로는 비현실적이거나 불안정한 사회적 기반 위에서 발전한것
임을 암시했다. 많은 이들이 맨슨의 행동을 히피의 본질적인 모순으로 해석했으며, 이 사건은 히피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크게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찰스 맨슨의 엽기적 살인사건 및 세계적인 영향
1969년 8월 10일자 Los Angeles Times 헤드라인
찰스 맨슨 패밀리의 범행이 발생한 직후인 1969년 8월 10일, Los Angeles Times는 다음과 같은 헤드라인으로
보도:
“RITUALISTIC SLAYINGS: SHARON TATE,
FOUR OTHERS MURDERED”
(의식적인 살인: 샤론 테이트와 4명 살해됨)
카리스마 넘치는 젊은 교주
젊은 여성 추종자들을 이끌고
세상을 부정하고 기존 질서를 거부하며
범죄와 살인을 서슴지 않는 인물

<찰스 맨슨이 살해한 샤론테이트(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아내)>
찰스 맨슨은 단순한 살인범을 넘어, 1960년대 미국의 자유와 사랑, 평화의 이상주의가 어떻게 스스로 무너져 내렸는지를 상징하는
인물로 자리 잡았다.
그는 당시 히피 문화, 뉴에이지 운동, 반체제 운동이 혼재하던 혼란의 시기를 정확히 파고들었다.
1. 맨슨 패밀리와 1969년의 충격
1969년 8월 9일, 맨슨 패밀리 신도들은 샤론 테이트(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아내이자 임신 8개월)와 그 친구들을 무참히
살해했다.다음날엔 라비앙카 부부까지 살해했다.
이들의 행동은 단순한 살인을 넘어, 집 안에 피로 ‘PIG’(돼지)라고 쓴다든지, ‘헬터 스켈터(Helter
Skelter)’라는 비틀즈 노래를 살인 명분으로 삼는 등, 대중문화를 광기에 섞어버렸다.(“헬터 스켈터(Helter
Skelter)”는 “혼란”, “당황한”, “난잡” 등의 뜻으로 19세기 이전 영국에서 쓰이던 단어)
이 사건은 당시 미국 대중들에게 “히피=평화”라는 환상이 산산조각 나는 충격을 주었다.
→ 결과적으로 히피 문화는 이 사건 이후 급격히 몰락했다.
2. 대중문화에서 악마적 상징이 되다
맨슨은 감옥에서도 인터뷰를 하며 기괴한 모습, 광적인 언변을 보여 “악의 화신”처럼 소비됐다. 1970년대부터 영화, 음악,
문학 전반에 맨슨 패러디나 언급이 급증했다.
예시:
“Helter Skelter”(1976) – 맨슨 사건을
그대로 다룬 TV 영화.
“Natural Born Killers”(1994) –
타란티노 각본, ‘매스 미디어가 살인자를 어떻게 영웅화하는가’ 다룸. 맨슨의 그림자가 짙다.
“Once Upon a Time in Hollywood”(2019)
– 타란티노가 맨슨 사건을 재해석. 샤론 테이트는 살지 못했지만, 영화에서는 ‘구해내는’ 대체역사를 그린다.
심지어 락밴드 “마릴린 맨슨(Marilyn Manson)”
이라는 이름조차 “마릴린 먼로”와 “찰스 맨슨”을 합쳐서 지은 것이다.
3. 왜 찰스 맨슨은 이렇게 집요하게 문화에 남았는가?
미국 사회의 죄책감과 배반감: 60년대 청년들은 “평화와 사랑”을 외쳤지만, 그 결과 맨슨 같은 괴물이 나왔다는 자괴감.
매스 미디어의 폭력성 착취: 신문, 방송은 맨슨을 연쇄 살인극의 스타처럼 다뤘다.
대중의 모순된 심리: 한편으로는 그를 혐오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그 광기에 매혹당했다.
Helter Skelter 영화는 유투브에 풀무비가 있다.
다만 1976년 tv 시리즈가 아닌 2004년 작이다.
여기서는 찰슨 맨슨 컬트에 대한 흥미위주의 방송을 게재한다.
전체 리뷰 펼치기 / 접기 <찰스 맨슨 사건 이후, 미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변화>
올리버스톤 감독 : Natural Born Killers(1994)> 쿠엔틴 타란티노 시나리오
The Beatles – Helter Skelter (Music Video)
::: 찰스 맨슨 사건 이후, 미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변화
사이비 종교와 컬트 운동의 폭발
cult 자체가 사이비종교를 뜻하나 “열광적 현상” 자체를 내포한다.
찰스 맨슨은 단지 하나의 예시였을 뿐이다. 그의 사건 이후, 미국 사회는 컬트와 사이비 종교 붐에 휘말렸다.1978년, 존스타운
집단 자살 사건: 짐 존스 목사가 주도한 인민사원(People’s Temple) 신도 900여 명이 가이아나 정글에서 독극물을
마시고 집단 자살했다. 1980년대, 데이비디언 분파: 웨이코에서 FBI와 무력 충돌 끝에 수십 명 사망.1990년대,
Heaven’s Gate: UFO를 타고 다른 세계로 가기 위해 집단 자살을 벌인 컬트.→ 모두가 찰스 맨슨 사건 이후
‘컬트’라는 개념을 대중이 심각하게 인식하게 된 계기였다.
원인:
60~70년대 히피 문화 붕괴 이후, 청년들의 정체성 공백
베트남전 패배,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인한 정부 불신
“새로운 구원”을 찾으려는 절박한 심리
대중문화에서 맨슨 이미지의 끊임없는 재생산
맨슨 사건 이후 ‘평화로운 히피’는 사라지고, 대중문화는 폭력과
광기의 테마로 빠르게 변모했다.
Texas Chainsaw Massacre (1974)
: 버려진 미국 농촌 공동체, 광기의 가족 묘사. 맨슨 패밀리를 은유.
Halloween (1978) : 범죄 없는 교외 지역에 침투하는 순수한 악. 맨슨의 “무작위 공격성” 연상.
Silence of the Lambs (1991) : 교양 있는 연쇄살인범 한니발 렉터. 지적이지만 광기 어린 존재.
락 음악은 더 어두워졌다. 롤링 스톤스의 Sympathy for the Devil(악마에 대한 동정)이나, 펑크록의 반사회적
메시지도 맨슨 충격 이후 강화되었다. 찰스 맨슨과 신종 대중심리: “공포의 매혹(Fascination with Fear)”미국
심리학자 조엘 베스트는 이를 “공포의 매혹”이라 불렀다. 사람들은 극단적 범죄자에 대한 혐오와 매혹을 동시에 느끼기 시작했다.
헐리우드는 이 감정을 이용해 킬러, 컬트, 사탄주의자들을 매혹적이고 세련된 인물로 재구성했다.
예시:
찰스 맨슨 = 괴물 X
찰스 맨슨 = “타락한 자유의 상징” O
→ 히피 세대가 남긴 가장 어두운 유산 중 하나다.
전체 리뷰 펼치기 / 접기 <컬트(cult)의 전방위적인 확산>
::: 미국 컬트 공포 확산과 법적·사회적 대응의 역사
컬트에 대한 초기 인식과 사회 분위기
미국 사회에서 컬트 집단에 대한 공포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계기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에 집중되어 있다. 원래
미국은 청교도적 전통과 함께 다양한 종교 운동이 공존하는 토양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규모 종교 집단이 존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의 사회변동, 즉 히피 문화, 반전운동, 약물 확산, 성해방 등의 영향으로 청년들이 기존
사회질서에 대한 저항을 표방하면서, 종교적·영적 갈증을 채워줄 수 있는 급진적 집단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 많은 ‘뉴에이지(New Age)’ 운동과 ‘커뮤니티 공동체’가 생겨났으며, 이들 중 일부가 극단적인 교리,
고립, 맹목적 복종을 특징으로 하는 컬트(cult)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찰스 맨슨 사건: 컬트 공포를 불러일으킨 결정적 사건
1969년, 찰스 맨슨(Charles Manson)과 그의 추종자들인 ‘맨슨 패밀리(Manson Family)’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아내이자 배우였던 샤론 테이트(Sharon Tate) 살해 사건을 비롯한 잔혹한 연쇄 살인 사건을 일으켰다. 테이트는
임신 8개월인 상태였으며, 함께 있던 친구들과 함께 무참히 살해당했다.맨슨은 직접 살인을 저지르지 않고, 자신의 교리에 세뇌된
젊은 추종자들에게 명령만 내렸다는 점에서 사회적 충격이 극대화되었다. 그는 ‘헬터 스켈터(Helter Skelter)’라 불리는
인종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믿었으며, 이 전쟁을 촉발시키기 위해 무차별 살인을 지시했다.
(“헬터 스켈터(Helter Skelter)”는 “혼란”, “당황한”, “난잡” 등의 뜻으로 19세기 이전 영국에서 쓰이던 단어)
이 사건은 미국 대중들에게 다음과 같은 공포를 안겼다.
젊은이들이 사소한 계기로 광신에 빠져, 상상할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는 점.
공동체나 대안문화를 표방하는 집단이 외부 세계에 대해 극단적 적개심을
가질 수 있다는 점.
기존의 법과 질서가 이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다는 점.
〈Los Angeles Times〉, 〈New York Times〉 등의 주요 일간지는 맨슨 사건을 대서특필했으며, 맨슨의
얼굴과 그의 수염 난 모습은 ‘광기의 상징’처럼 널리 퍼졌다. 컬트에 대한 법적 대응: 미온적 접근에서 강력 규제까지 찰스 맨슨
사건 이후, 미국 사회는 컬트 집단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1970년대: 미온적 대응
초반에는 미국 수정헌법 제1조(종교의 자유)가 강력하게 보호되었기 때문에, 컬트를 법적으로 규제하는 데 매우 소극적이었다.
종교 집단의 자율성과 범죄 집단의 경계가 모호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법적 제재가 어려웠다.
1978년: 존스타운 집단 자살 사건
가이아나 정글에 세운 ‘피플스 템플(People’s Temple)’ 공동체에서, 짐 존스(Jim Jones)의 지시로 약
900명이 집단 자살했다.
이 사건은 “미국인이 집단적으로 세뇌되어 죽을 수도 있다”는 충격을 안겼다.
사건 이후 미국 의회는 컬트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고, 특히 ‘심리적 지배’를 통한 인권 침해 문제를 심각하게 다루기 시작했다.
1980~90년대: 강경 대응
1993년, 텍사스 웨이코(Waco) 지역에서 ‘다윗파(Branch Davidians)’가 FBI와 대치 끝에 76명이 사망한
사건은 정부가 무력 개입에 나서야 할지를 둘러싸고 큰 논쟁을 낳았다.이후,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연방기구는 컬트 집단에
대한 정보수집 및 감시를 강화하였다. ‘디프로그래밍(deprogramming)’이라 불리는 탈세뇌 프로그램이 유행했으며,
부모들은 컬트에 빠진 자녀를 강제로 집으로 데려오기도 했다.
세계적 확산: 컬트에 대한 공포의 글로벌화
찰스 맨슨과 존스타운 사건 이후, 컬트에 대한 두려움은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퍼졌다. 일본: 1995년 ‘옴 진리교’가 도쿄 지하철에 사린가스 테러를
일으켜 13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부상했다. 이 사건은 “현대 사회에서도 종교적 광신이 대규모 테러를 일으킬 수 있다”는
두려움을 확산시켰다. 유럽: 프랑스와 스위스에서는 ‘태양의
신전(The Order of the Solar Temple)’ 집단이 집단 자살 및 살인 사건을 일으켰다.
한국: 1980~90년대에도 일부 컬트 성격을 띤 종교 집단이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고, 이에 대한 경계가 강화되었다.(오대양사건)
이러한 사건들은 ‘컬트’가 단순히 미국 사회만의 문제가 아니라, 현대 세계가 겪는 구조적 문제 — 고립, 소외, 영적 불안 —
의 결과라는 점을 보여주었다.찰스 맨슨 사건은 컬트 집단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결정적 계기였다. 그 이후 미국
사회는 컬트를 단순한 종교적 다양성의 일환이 아니라, 사회적 위험요소로 규정하게 되었으며, 법적·제도적 대응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컬트에 대한 공포는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되어, 오늘날까지도 세계 곳곳에서 극단적 종교 집단이나 신비주의 집단에 대한
경계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컬트문화 또는 컬트 현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알아보자.
<김복준의 오대상 집단 변사사건 해부>
전체 리뷰 펼치기 / 접기 <히피 세대의 등장: 사랑, 환각, 공동체)>
::: 컬트(cult)의 전방위적인 확산
찰스 맨슨 사건을 시작으로, 오늘날의 컬트는 더욱 다변화된 양상으로 나타나며, 전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컬트, 사회적 두려움 등 현대적 관점에서 확장된 컬트 현상을 알아보자.
1.컬트와 현대 심리학
찰스 맨슨 사건 이후, 심리학계는 컬트 집단에 대한 집중 연구를 본격화했다. 컬트에 빠지는 심리적 요인으로 가장 먼저 지목된
것은 ‘사회적 소외감’이었다. 1960년대 말 미국 사회는 베트남 전쟁, 인종
갈등, 젠더 이슈 등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많은 젊은이들은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한 환멸을 느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자신을
받아줄 새로운 “공동체”를 찾게 되었고, 컬트는 이러한 심리를 교묘히 이용했다.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의 인지 부조화 이론은 컬트 심리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과 행동이 충돌할 때 심리적 불편을 느끼는데, 컬트는 이를 해소해주는 완전한 “믿음 체계”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맨슨은 종말론적 메시지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세상은 곧 끝난다. 오직 나와 함께해야 살아남는다’는 식의 폐쇄적 신념을 주입했다.
또한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의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 역시 컬트 연구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
사람들이
권위적 인물에게 자신의 도덕적 판단을 포기하고 복종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맨슨은 이러한 심리적 취약성을 이용해,
신도들에게 살인을 명령하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세뇌했다.
<참고>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내용: 참가자들에게 “학생”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 (사실 학생은 연기자였고 충격은 가짜)
목적: 사람들이 권위자의 명령에 어느 정도까지 복종하는지를 실험.
결과: 참가자의 65%가 “학생이 고통을 호소”하는데도 최고 전압(450볼트)까지 충격을 가함.
핵심: 상식이나 양심보다, 권위에 복종하려는 심리가 더 강할 수 있다.
관련 영화:
《The Experimenter》(2015)
→ 스탠리 밀그램의 삶과 이 실험 과정을 다룬 전기 영화야. 실제 실험 분위기와 심리적 충격을 잘 재현했음.
스탠포드 감옥 실험 (Stanford Prison Experiment)
내용: 지원자들을 무작위로 “교도관”과 “수감자”로 나눠 감옥 상황을 연출.
목적: 사람의 행동이 역할과 상황에 따라 얼마나 급격히 변하는지 관찰.
결과: 교도관 역할을 맡은 이들이 점점 폭력적으로 변하고, 수감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음. (6일 만에 중단)
핵심: 평범한 사람도 상황에 따라 잔혹해질 수 있다.
밀그램 실험 → “권위자의 명령”에 복종하는 개인의 심리.
스탠포드 감옥 실험 / 엑스페리먼트 → “역할과 구조”가 사람을 어떻게 권위적이고 잔인하게 만드는지 구현.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의 경험>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영화: 《The Experimenter》(2015)>
<스탠포드 감옥 실험 (Stanford Prison Experiment)>
《The Stanford Prison Experiment》(2015) : 경찰복과 죄수복으로 두 그룹을 나누어 역할극>
<참고>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내용: 참가자들에게 “학생”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 (사실 학생은 연기자였고 충격은 가짜)
목적: 사람들이 권위자의 명령에 어느 정도까지 복종하는지를 실험.
결과: 참가자의 65%가 “학생이 고통을 호소”하는데도 최고 전압(450볼트)까지 충격을 가함.
핵심: 상식이나 양심보다, 권위에 복종하려는 심리가 더 강할 수 있다.
관련 영화:
《The Experimenter》(2015)
→ 스탠리 밀그램의 삶과 이 실험 과정을 다룬 전기 영화야. 실제 실험 분위기와 심리적 충격을 잘 재현했음.
스탠포드 감옥 실험 (Stanford Prison Experiment)
내용: 지원자들을 무작위로 “교도관”과 “수감자”로 나눠 감옥 상황을 연출.
목적: 사람의 행동이 역할과 상황에 따라 얼마나 급격히 변하는지 관찰.
결과: 교도관 역할을 맡은 이들이 점점 폭력적으로 변하고, 수감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음. (6일 만에 중단)
핵심: 평범한 사람도 상황에 따라 잔혹해질 수 있다.
밀그램 실험 → “권위자의 명령”에 복종하는 개인의 심리.
스탠포드 감옥 실험 / 엑스페리먼트 → “역할과 구조”가 사람을 어떻게 권위적이고 잔인하게 만드는지 구현.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의 경험>
<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영화: 《The Experimenter》(2015)>
<스탠포드 감옥 실험 (Stanford Prison Experiment)>
《The Stanford Prison Experiment》(2015) : 경찰복과 죄수복으로 두 그룹을 나누어 역할극>